모바일 버전으로 보기

픽스터 분석(배구)

11월 25일 V리그 대한항공 KB손해보험

Lv.71 손흥민
2025.11.25
댓글0
좋아요0
조회1


공격 전개와 해결력: 정지석의 절정 기량(트리플크라운 사례)은 팀 공격의 안정적 축이며, 러셀은 결정적 순간 해결사 역할을 지속합니다. 두 선수의 득점력이 고르게 발휘되면 상대의 블로킹 분산과 수비 부담 유발이 용이합니다. 세터 운영과 속공 연결: 베테랑 한선수의 안정적인 경기 운영은 세터-공격수 간 타이밍을 살리고 속공·퀵오픈 등 빠른 루트를 효과적으로 살립니다. 세터의 토스 안정성은 전술적 유연성을 제공하여 상대가 서브로 흐름을 끊어도 대응 폭이 넓습니다. 수비·블로킹 우위: 직전 경기 블로킹 12개 등 네트 중앙에서의 차단 능력이 우수하고, 리시브 효율이 높아 빠른 역습이 빈번히 일어납니다. 중앙 높이(김규민·임동혁 공백에도 대체 자원 가동)는 상대 공격 루트를 억제하는 데 기여합니다. 리스크 요인: 최근 두 경기 연속 풀세트 소화로 체력 소모가 누적된 점과 김규민·임동혁 등 주축의 부상 공백은 부담입니다. 코칭스태프는 교체 타이밍과 체력 분배를 통해 후반 집중력 저하를 관리해야 합니다.



세터 포지션 불확실성: 황택의의 출전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백업 세터와의 호흡 문제는 공격 전개의 연쇄적 약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특히 퀵오픈·후위 전개의 효율이 떨어지면 비예나에게 의존하는 공격 구조가 더욱 고착됩니다. 공격진의 기복: 외국인 비예나는 꾸준한 득점력의 축이지만, 나경복·임성진 등 국내 공격진의 기복이 이어지면 득점 분산이 어려워 상대의 집중 수비에 취약합니다. 리시브·서브 문제: 직전 경기에서 서브 에이스를 다수 허용하며 리시브 라인이 흔들렸고, 원정 경기에서 상대적으로 부진한 경향이 있어 대한항공의 강서브 앞에서 리시브 붕괴 위험이 큽니다. 회복 전략: 세터의 공백 시에는 서브 강도를 조절해 리시브 부담을 낮추고, 범실을 최소화하는 안정 운영과 비예나에 대한 서브 견제 대응을 위한 측면·후위 공격 루트 다변화가 필요합니다.



양 팀 상황을 종합하면 대한항공이 전력적·조직적 우위를 가지고 있습니다. 세터의 안정성, 득점 분산 능력, 높은 리시브 효율과 블로킹 출현 빈도는 대한항공이 경기 주도권을 유지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할 것입니다. 반면 KB는 세터 불확실성과 리시브 불안, 국내 공격진의 기복이라는 복합적 약점을 안고 있어 원정에서 고전할 가능성이 큽니다.

좋아요
0
싫어요
0
좋아요0
싫어요0
K플레이의 픽스터 분석 카테고리 글
픽스터 분석 더보기 0/0